만 19세~34세 이하 청년들이 혜택 받을 수 있는 전세대출의 종류, 그리고 각 혜택들 간의 차이점, 그리고 내가 받을 수 있는 전세대출은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최대한 간략하게 요점만 정리했습니다. 살펴보시고 하단 신청경로를 통해 기간에 맞춰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한눈에 보기
가입 연령 | 혜택 | 신청방법 | |
버팀목 전세대출 | 만 19세 ~ 34세 이하 | 전세금 2억 한도(1.5~2.1%) | 온라인 또는 은행방문(우리, 농협, 기업, 국민, 신한) |
중소기업청년대출 | 전세금 1억 한도(1.2%) | ||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
보증금 3,500만원 월세 최대 50만원 |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대출 대상
전세계약을 하고 전세금액의 5% 이상을 지불한 상태여야 합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세대주,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61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지원 혜택
청년 전용 버팀목 대출은 원래는 최대 1억원 보증금의 주택에 애해서 7천만 원까지만 지원이 되었는데요, 이제 전세 3억짜리 집에 최대 2억까지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청년 |
|
대출한도 | 2억 |
보증금 상한 | 3억 |
참고로, 부부합산 연소득에 따라 금리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2천만원 이하 | 1.5% |
2천만원 초과 4천만원 이하 | 1.8% |
4천만원 초과 6천만원 이하 | 2.1% |
버팀목 전세대출 신청방법
전세계약서(임대차계약서)의 잔금지급일과 주민등록등본상 전입신고일 중에서 더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전까지만 신청 가능합니다. 계약 갱신(연장)의 경우는 연장계약일로부터 3개월 이내.
온라인신청 또는 은행 방문(우리,국민, 신한, 농협, 기업)하셔서 신청 가능합니다.
- 온라인 페이지 접속 후 공동인증서 로그인.
- 상단 대출신청에서 해당되는 메뉴 선택
필요서류는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소득금액증명원, 확정일자 받은 임대차계약서 사본 등이 필요합니다. 자세히 보기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주거비용을 낮은 금리로 빌릴 수 있게 마련 된 제도인데요. 금리는 연 1.2%로 최대 1억 원 이내 한도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2년까지 가능하고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합니다.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외벌이의 경우 3천5백만 원 이하.
- 순자산가액 3.61억원 이하의 무주택자.(세대주)
- 중소 또는 중견기업 재직자
-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병역이행기간만큼 연장하여 최대 39세까지 가능)
제출하실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사업자의 경우 사업자등록증), 소득금액증명원 등의 소득확인용 서류, 확정일자부 임대차 계약서 사본, 임차주택 건물 등기사항전부증명서, (중소기업) 사업자등록증, 주 업종코드확인서 등이 필요합니다. 세부 사항은 이곳을 클릭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신청 방법
은행 방문(우리, 신한, 농협, 기업, 국민) 하셔서 신청하시거나 온라인신청이 가능한데요. 대출 신청 후 자산 정보 수집하여 자산심사가 끝나면 문자로 결과가 통보됩니다. 이후 서류제출을 한 뒤 추가 심사를 진행하고 승인이 나면 대출 실행이 됩니다.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이면서 순자산가액 역시 3.61억 원 이하인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대출금리는 보증금의 경우 연 1.3%, 월세는 20만 원까지 0%, 20만 원 초과할 경우 1%가 적용됩니다.
보증금은 최대 3천5백만원 이내 대출 가능하며 월세는 최대 월 50만 원, 1,200만 원까지만 지원됩니다.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신청방법
버팀목 전세대출, 중소기업전월세대출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또는 은행방문 신청 가능합니다.
중복 지원 가능할까?
위 세 가지 대출끼리나 다른 정부지원상품(LH임대주택 입주 등)과도 중복으로 지원받으실 수 없으니 참고 바랍니다.
'복지와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급여 신청 및 혜택, 간단 정리 (0) | 2023.03.10 |
---|---|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하는법 (0) | 2023.03.05 |
청년도약계좌 가입혜택 및 가입방법 (0) | 2023.03.02 |
숨은 환급금 찾기, 세금 돌려받는 방법 (0) | 2023.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