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와 혜택5 부모급여 신청 및 혜택, 간단 정리 2023년부터 시행되는 부모급여는 영아수당이 더 확대 및 개편된 것으로 출산과 양육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복지제도입니다. 부모급여는 어떻게 신청하는지, 얼마를 지원받는지, 언제 지원받고 신청할 수 있는 대상은 누구인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부모급여 수급 대상자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모급여는 출산장려정책으로서 양육비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인데요. 아래사항에 해당되는 분들이 신청 대상에 해당됩니다. 영아수당을 받고 있는 분들은 부모급여 대상자입니다. 0~23개월(만 1세까지) 지원됩니다. 육아휴직 및 육아휴직급여 받아도 신청 가능합니다 만 2세부터는 가정양육수당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같은 건 없습니다. 어린이집 보육료바우처 받을 경우 아동수당(만 1세) 35만 원 < 보육료바우처.. 2023. 3. 10.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하는법 2023년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기간은 5월 예정이며, 9월에 지급됩니다. 반기신청자는 2023년 3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 신청하시면 6월 말에 지급됩니다. 2023년 상반기 소득에 대한 신청은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신청하시면 2023년 말에 지급됩니다.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카카오톡 또는 문자메시지로 안내문을 받았을 경우 → 안내문에 신청하기 버튼 → 손택스 신청화면 →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완료. 우편물로 안내문 받았을 경우 → QR코드를 스캔 → 손택스에서 위와같이 신청. 홈택스(온라인)에서 신청 방법 : 홈택스 신청/제출 메뉴 → 근로자녀장려금 → 간편신청하기 손택스(모바일)에서 신청 방법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전화(ARS) 신청 방법 : 1544-9944로 전화하여 신청 안.. 2023. 3. 5. 청년 전세자금 대출 종류 TOP3 정리 만 19세~34세 이하 청년들이 혜택 받을 수 있는 전세대출의 종류, 그리고 각 혜택들 간의 차이점, 그리고 내가 받을 수 있는 전세대출은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최대한 간략하게 요점만 정리했습니다. 살펴보시고 하단 신청경로를 통해 기간에 맞춰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한눈에 보기 가입 연령 혜택 신청방법 버팀목 전세대출 만 19세 ~ 34세 이하 전세금 2억 한도(1.5~2.1%) 온라인 또는 은행방문(우리, 농협, 기업, 국민, 신한) 중소기업청년대출 전세금 1억 한도(1.2%)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보증금 3,500만원 월세 최대 50만원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대출 대상 전세계약을 하고 전세금액의 5% 이상을 지불한 상태여야 합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세대주, 부부합산 연소득 5.. 2023. 3. 2. 청년도약계좌 가입혜택 및 가입방법 청년희망적금 상품 가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청년도약계좌(2023년 6월 출시 예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가입조건과 가입 방법, 그리고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돈 마련에 힘쓰시는 분들은 가장 중요한 가입방법까지 꼭 확인하시고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정책 금융상품으로 청년의 목돈마련을 위한 사업입니다. 가입 이후 최대 5년간 매달 40~70만 원씩 납부하면 정부에서 개인의 소득기준에 따라 매월 3~6%를 더해 지급합니다. 이전에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만기가 2년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중도 해지가 많았는데, 청년도약계좌는 그보다 두 배 넘게 유지해야 하므로 자신의 형편에 맞게 월 납입액을 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혜택 월납입액의 3~6%(소득에 따라 다름) 정부가.. 2023. 3. 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