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와 혜택

청년도약계좌 가입혜택 및 가입방법

by 드로리 2023. 3. 2.
반응형

청년희망적금 상품 가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청년도약계좌(2023년 6월 출시 예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가입조건과 가입 방법, 그리고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돈 마련에 힘쓰시는 분들은 가장 중요한 가입방법까지 꼭 확인하시고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정책 금융상품으로 청년의 목돈마련을 위한 사업입니다. 가입 이후 최대 5년간 매달 40~70만 원씩 납부하면 정부에서 개인의 소득기준에 따라 매월 3~6%를 더해 지급합니다.

 

이전에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만기가 2년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중도 해지가 많았는데, 청년도약계좌는 그보다 두 배 넘게 유지해야 하므로 자신의 형편에 맞게 월 납입액을 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혜택

  1. 월납입액의 3~6%(소득에 따라 다름) 정부가 지원.
  2. 이외에 시중은행 이율이 더해짐.
  3. 이자 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음.

 

가입조건

 

우선 연간 소득이 없다면 가입이 불가합니다. 이프 바이트도 고용보험 가입되어 있다면 가능합니다. 만 19세~만 34세의 청년이 대상이며, 병역이행 기간은 최대 6년까지 뺄 수 있습니다. 6년 병역이라면 만 40세까지 가능한 것이죠.

 

개인소득은 6천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으로 180% 이하인데요, 아래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인가구 3,740,206원
2인가구 6,221,079원
3인가구 7,982,669원
4인가구 9,721,735원
5인가구 11,395,238원
6인가구 13,010,366원

 

 

청년희망적금청년도약계좌 비교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제외) 대상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제외)
개인소득 3천6백만원 이하 or 종합소득 2천6백만원 이하 소득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및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적금 형태 적금형, 투자형 중 선택
월 최대 50만원 납입액 월 최대 40~70만원
1년 차 2%, 2년 차 4%(만기 지급) 정부 지원액 3~6% (월 지급)
2년 만기 5년

 

청년도약계좌가 희망적금에 비해 소득 요건이 완화되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입기간이 무려 5년이나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적금 중복 가입하거나, 아니면 아예 상품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텐데요. 아직까지는 정해진 바는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정부가 지원하는 상품은 중복이 당연히 불가하겠죠.

 

만약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고 싶을 때는 해지하고 가입하셔야 할 겁니다.

 

앞서서도 언급했지만,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기가 5년이나 되므로 반드시 자신의 상황에 맞게 월 납입액을 조정하시고 너무 큰 욕심을 부리다가 중도 해지하는 상황이 오지 않게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중도해지 시 이자 비과세 혜택을 받은 게 있다면 그동안의 세금을 계산해서 지불해야 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실직이나 빌병 등 부득이한 사유로 근로소득이 중단되어 중도 해지가 불가피한 경우 면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부분은 상품 출시 이후에 정확히 한 번 더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