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풍수 인테리어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집안 가구 배치에서부터 소품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적용되고 있는데 당연히 과학적 근거는 전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맹신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대체 어디서부터 비롯된 걸까? 아마도 조상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전통문화라는 인식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유입된 문화라고 합니다. 조선총독부 산하 기관인 총독부관방조사과에서는 1934년 <조선의 풍수>라는 책을 발간했는데 거기에 보면 한반도 곳곳의 명당자리 위치와 함께 그곳에 얽힌 전설 등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까지도 이어져 내려온 것입니다. 물론 미신이라는 걸 알면서도 왠지 모르게 끌리는 묘한 매력이 있긴 합니다. 저도 이전에 이사를 올 때 침대 방향을 놓고 고민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왕이면 좋은 기운을 받을 수 있는 자리에 눕고 싶어서였습니다. 지금 금 살고 있는 집은 침실을 포함해 대부분 풍수지리학적 근거로 좋은 기운을 받도록 꾸며 놓았습니다. 좋은 기운과 행운 같은 것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하지만 이것은 미학적으로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풍수지리에 맞는 것이 보편적인 미적 가구 배치와 공간 연출과도 같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떤 것들이 있는지 대표적인 것들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거실 및 현관 풍수지리 인테리어
거실은 풍수지리적으로 사회성을 의미하는 공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자취방은 대부분 원룸이기 때문에 거실이 곧 침실이고 침실이 곧 거실일 것입니다. 따라서 침실과 거실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꾸며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선 현관문을 열자마자 침대가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현관문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소파가 바로 보이는 것이 좋으나 너무 좁아 소파를 놓을 수 없는 경우 침대로 대체하도록 합니다. 원룸 자취방은 침대가 곧 소파의 목적을 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현관의 신발과 우산 등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특히 신발장이 정리가 되어있지 않다면 복을 달아나게 하기 때문에 깔끔하게 정리해 주도록 합시다. 그리고 현관으로 들어오자마자 바로 오른쪽에 거울이 있다면 권력운, 왼쪽에 거울이 있다면 재물운이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들어오자마자 정면에 재물운을 부르는 해바라기 그림도 하나 걸어두었습니다. 미적으로도 나쁘지 않기도 합니다. 그리고 집에 소파를 둘 수 있는 분들이라면 소파 색상은 노랑, 베이지, 갈색, 그린, 블루 계열로 선택합니다. 서쪽에는 노란색이나 황금색 소품을 활용하고 동남쪽에는 붉은 계열 소품을 활용하여 장식해 주면 금전운을 부른다고 합니다. 가죽보다는 페브릭 재질이 좋고 항상 깨끗해야 복을 부른다고 합니다. 소파가 현관문과 등을 지고 있게 되면 사회성의 행운으로 보아 안 좋다고 하니 이 또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어쨌든 과학적 근거는 없으니 집 구조상 영 선택지가 없다면 어쩔 수는 없는 일입니다.
주방 풍수지리 인테리어
주방은 금전과 가족의 건강을 의미하는 공간으로 나무재질로 인테리어를 해주면 가족의 건강과 화목을 부른다고 합니다. 풍수지리학자들은 싱크대 또한 자연스러운 원목톤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이때, 벽이 원목일 경우에는 싱크대는 흰색으로 꾸며도 좋습니다. 전자레인지와 냉장고는 되도록 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과 물의 기운이 상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또한 자취생에게는 선택지가 별로 없으니, 되도록 냉장고 위에 전자레인지를 배치하는 것만은 피하도록 합시다. 생각해 보니 예전 원룸에 살 때 전자레인지를 냉장고 위에 두었는데, 풍수지리학적 뿐만 아니라 그 두 제품은 위아래로 같이 있으면 기능상으로도 좋지는 않을 것 같아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날카로운 조리도구는 반드시 보관함에 넣어야 합니다. 칼은 당연히 칼꽂이에 두어야겠습니다. 도구들이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나쁜 기운을 불러들인다고 합니다. 그리고 위험한 도구는 나와있으면 안 좋으니까 당연한 얘기 같습니다.
욕실 풍수지리 인테리어
욕실은 생명의 근원인 물이 많아서 가족 건강에 직접적인 기운을 가져다줍니다. 조명은 반드시 환하게 해야 좋은 기운이 들어오고 창문이 없는 자취방 화장실 같은 경우는 백열등으로 반드시 바꿔줍니다. 저 또한 일반 방은 따뜻한 조명으로 했지만 욕실은 밝은 색으로 꾸몄습니다. 그리고 세면대와 변기는 반드시 깔끔하게 항상 유지합니다. 변기 뚜껑은 항상 닫아 놓는 것이 좋습니다. 수건의 경우 흰색이나 연한 색의 파스텔톤으로 통일하고 화려하고 알록달록한 무늬가 있는 것은 피하도록 합니다. 어디 잔치에서 줄 법한 특이한 무늬의 수건은 보관만 하는 것으로 합시다.

침실 풍수지리 인테리어
침실에서 가장 중요한 가구는 당연히 침대입니다. 침대 배치에 따라 인테리어든 풍수지리든 큰 영향이 있습니다. 침대는 문에서 대각선방향이 좋고 되도록 창에 머리 쪽이 닿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침대에서 넓게 시야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창 옆으로 침대를 바짝 붙이는 것보다는 벽에 조금 틈을 남기도록 합니다. 중요한 점은 침대를 마주 보는 거울이 없도록 하는 것입니다. 거울은 사람의 기를 교란하기 때문에 침대를 비추면 잠자리가 안 좋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침대 머리를 동쪽으로 하면 실행력이 강해지고 남쪽으로 두면 창의력이 올라간다고 합니다.
'자취생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 구분하기 (0) | 2023.01.24 |
|---|---|
| 일상생활 속 자원과 에너지 절약 팁 (0) | 2023.01.23 |
| 자취생 인테리어 조명, 실내 분위기 연출 (0) | 2023.01.21 |
| 자취생 대표 여름과일 보관하기 팁 (0) | 2023.01.20 |
| 자취생 겨울과일 가장 맛있게 보관하는 방법 (0)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