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분리수거는 일반 가정집에서는 분리수거함에 종류별로 버리면 그만이지만 원룸 생활자는 그럴 수 없습니다. 보통은 재활용쓰레기를 한 곳에 모아 버리고 일반쓰레기는 종량제봉투에 담아서 버립니다. 그러면 모두 수거해 가지만, 아직 사회초년생 대학새내기들 또는 독립한지 얼마 안 된 집안일 초보에겐 분리수거가 굉장히 막막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비닐 분리수거 방법
먼저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비닐을 알아보겠습니다. 검정색 비닐봉지는 재활용으로 분리수거해서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검정 비닐봉투, 즉 마트나 편의점에서 받은 검정 비닐봉투는 일반쓰레기라고 합니다. 검정 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색소분리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비용이 만만치않아 폐기를 시킨다고 합니다. 그래서 투명한 비닐 또는 하얀색의 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합니다.
물론 마트용 비닐보다 매일 장바구니를 챙겨서 나가는 게 더 중요합니다. 하지만 한 두 번 깜빡하고 장바구니를 못 챙겨나오거나, 귀가하는 길에 마트나 편의점에 들르면 어쩔 수 없이 봉투에 담아야할 경우도 많기 때문에 비닐 사용을 줄이기란 만만치 않습니다. 여성용 생리대처럼 비춰지기 민망한 물건이면 검정비닐봉투가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비닐을 분리수거할 때 딱지처럼 접어서 버리는 분들도 은근히 많이 계십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게 되면 분리하는 과정에서 기계가 빨아들이지 못해서 결국 일반쓰레기로 버려진다고 합니다. 이제부터는 딱지를 접거나 묶어서 버리거나 하지 말기 바랍니다.
음식을 보관하거나 배달용으로 온 랩은 당연히 일반쓰레기로 버리고, 포장 비닐은 재활용이 된다고 합니다. 포장용 비닐의 경우도 너무 잘게 잘려져서 크기가 작으면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되며, 겉에 스티커나 접착액이 묻어 있으면 가위로 잘라낸 뒤 분리해야 합니다.

플라스틱 분리수거 방법
플라스틱 중 페트는 단일 재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재활용이 매우 쉬운 재질입니다. 그 중 투명 페트병은 색이 있는 혼합 플라스틱보다 오염도가 낮아서 세척과정이 간편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여러방면의 제품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20년 12월 25일부터는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이 의무화 되었다는 사실 모두 알고 있으실 겁니다.
페트의 분리수거 방법은 내용물을 모두 비운 후 라벨을 깔끔히 떼어낸 뒤 찌그려뜨려 부피를 최대한 작게 한 후 뚜껑으로 막아 별도로 배출하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색이 조금이라도 섞여 있으면 플라스틱류로 배출해야 합니다. 투명 플라스틱을 분리배출하지 않으면 벌금 30만원 부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플라스틱의 경우 깨끗하게 씻어낸 뒤에 물기를 제거하고 배출하면 됩니다. 여기서 오염이 너무 심한 것은 반드시 일반쓰레기로 버리고, 흔히 우리가 배달시켜서 나오는 빨대나 플라스틱 숟가락은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맞다고 합니다. 일반 플라스틱으로 분리가 안 되는 것들은 부피가 너무작거나 오염도가 심한것은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버리는 것이 맞습니다.

종이,의류,스티로폼 분리수거 방법
먼저 종이의 경우는 신문지는 따로 모아서 30cm정도의 높이마다 묶어 보관한 뒤 배출하면 됩니다. 잡지나 서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비닐코팅이 된 잡지류는 예외입니다.
스프링철이 되어있다면 따로 분리해야 합니다. 상자는 테이프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납작하게 만들어 배출하면 됩니다. 나머지 일반용지는 오물이나 물 등에 젖거나 오염되지 않게 모아 분리 배출하면 됩니다.
의류의 경우도 오염되지 않게 배출하면 되지만 주택가에는 헌옷 수거함이 무조건 있을테니 이것을 이용하면 됩니다. 캔의 경우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물로 한 번 헹군 후 발로 밟아 납작하게 한 뒤 배출하면 됩니다. 캔속에 이물질이 있으면 안 됩니다.
스티로폼의 경우 라벨등을 완전히 제거 후 투명 비닐에 넣거나 묶어서 버리면 됩니다. 반드시 바람에 흩날리지 않게 묶어줘야 합니다.
'자취생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취초보에게 전하는 빨래법의 중요성 (0) | 2023.01.13 |
---|---|
자취방에서 옷 보관하는 방법 (0) | 2023.01.12 |
자취생 음식 보관 요령 정리-3편 (0) | 2023.01.10 |
자취생 음식 보관 요령 정리-2편 (0) | 2023.01.09 |
먹다남은 치킨 보관 및 요리방법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