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를 가거나 집안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오래된 가구를 버려야 할 때 그냥 집 밖에다가 내놓는 분들이 간혹 있으시더라고요. 하지만 이렇게 버리면 불법투기가 됩니다. 가구뿐만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 침대나 자전거 등 부피가 큰 것을 버릴 때는 종량제 봉투에 담을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신고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가구 배출 신고하는 방법
부피가 큰 쓰레기를 대형폐기물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작은 쓰레기는 종량제봉투를 구입하고, 특수(흙이나 철제) 폐기물도 따로 봉투가 있지만, 큰 부피의 폐기물은 스티커를 붙여야 합니다. 주민등록주소지상의 주민센터에 가서 대형 폐기물 신고를 하면 필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구매하여 집으로 와서 폐기가구에 직접 부착 후 정해진 시간에 배출해야 합니다.
주민센터까지 방문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온라인으로도 충분히 가능한데요. 집에 프린터가 있으시다면 폐기신고 결제 후 신고필증을 출력하신 뒤 실물 종이로 인쇄하여 폐기물에 부착하시면 됩니다. 프린터가 없을 경우에는 신고내역(신고번호와 배출위치, 품목, 수거일 등)을 상세하기 수기로 작성하신 다음 폐기물에 부착하시면 됩니다. 이 과정이 머릿속에 안 잡히시는 분들을 위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주민센터에 가서 대형 폐기물 신고를 하고 스티커를 받아온다.
- 주민센터에 갈 수 없다면 본인 거주지의 구청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XX구 대형폐기물신고"라고 검색하면 나온다)
- 신고할 폐기물 종류를 선택하면 부피에 따라 비용이 나온다.
- 비용을 결제한다. 결제 전에 폐기물 배출 위치를 정확하게 작성한다.
- 필증을 출력(수기로 작성 가능)하여 폐기물에 부착한다.
- 배출 시간을 잘 확인하여 내놓는다.
정확한 내용은 구청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주소지의 대형폐기물 민원센터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폐가전 버리는 방법
가구가 아니고 냉장고나 텔레비전 등 가전제품은 구청에서 무상으로 수거합니다. 이는 미리 구청 담당부서에 연락하셔서 말씀을 하시면 되는데요. 대신에 가전제품이 많이 훼손되었다면 쓰레기와 같이 유상으로 신고처리 하셔야 합니다. 폐가전 수거는 구청 담당부서 직원과 일정을 잡으시면 됩니다. (소형가전일 경우에는 문 앞에 내놓아도 수거가능)
대형 폐기물 신고 시 유의사항
대형 폐기물 대략적인 금액은 약 2000원부터 20000원까지 다양합니다. 폐기 비용 아끼려고 허위 축소 신고를 하시면 폐기처리 담당관님들이 오셔서 가져가지 않습니다. 또한 폐기물 배출시간을 지키지 못하면 수거하시는 분들이 오셨다가 그냥 헛걸음하고 돌아가실 수 있습니다. 반드시 배출시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형 폐기물을 내놓으실 때에는 옆집에 피해가 가지 않는 위치에, 차량이 다니는 곳이라면 차량 통행에도 신경을 써서 배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피가 클수록 사전에 어떤 곳에 버릴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해 두셔야 합니다. 아파트의 경우 경비원 아저씨께 한 번 말씀을 드려보시고 일반 주택이라면 미리 살펴보세요.
스티커 등의 폐기물 신고 필증을 부착하실 때 테이프로 꼼꼼히 붙여주세요. 바람등에 의해 떼어져 날아갈 수 있습니다. 풀로 붙이는 것은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또한 비가 오는 날에는 되도록 폐기물 신고를 자제하시길 바랍니다.
댓글